반응형
1. 산술 연산자
산술 연산자는 사칙연산을 다루는 연산자로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 !
console.log(5 + 10)
// 15
console.log(5 - 10)
// -5
console.log(5 * 10)
// 50
console.log(10 / 5)
// 2
console.log(7 % 5)
// 2
위에서부터 차례로 더하기, 빼기, 곱하기, 나누기, 나머지 연산자이며, '%'인 나머지 연산자의 경우에는 7을 5로 나눴을 때의 몫과 나머지가 아닌 나머지만 반환해줍니다 !
2. 할당 연산자
할당 연산자는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합니다 !
2-1 '='
let a = 2
console.log(a)
// 2
a = a +3
console.log(a)
// 5
할당 연산자 '='는 변수 'a'에 수를 대입한다는 뜻입니다 ! 일반 수학에서처럼 '같다' 라는 의미는 아닙니다
2-2 '+='
let a = 2
console.log(a)
// 2
a += 3
console.log(a)
// 5
'+='의 의미는 a = a + 수와 같습니다. '+'의 자리에는 위에서 보았던 산술 연산자 모두 들어갈 수 있습니다
ex) '-=', '*=', '/=' ...
반응형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변수 범위 (var, let, const) (0) | 2023.04.26 |
---|---|
[Javascript] 반복문 for (0) | 2023.04.26 |
[Javascript] 조건문 (0) | 2023.04.26 |
[Javascript] 삼항 연산자 (0) | 2023.04.21 |
[Javascript] 비교 연산자 & 논리 연산자 (0) | 2023.04.21 |